반응형






П п

[pe]

영어 알파벳 p 발음이라고 하지만, 한국어로 치면 ㅃ과 유사하다. 

러시아어는 한국어처럼 된 발음이 존재한다. 즉 우리가 아는 푸틴은 영어식 발음이고, 뿌띤 혹은 뿌찐이 원어에 더 가깝다(우습게도 말이다)


Р р 

[er]

영어 알파벳 P와 닮았지만 전혀 다른 발음을 낸다. '에르' 인데. 우리가 아는 Л과의 차이점은 뒤에 올때 받침으로 발음되지 않는 다는 것과 혀를 떠는 발음이란 점이다. 즉 그냥 에르가 아니라 에르르 하고 떨리는 발음이다. 

흡사 전화 벨소리를 표현할때 따르릉 하고 혀를 떨어주는데, 이때의 혀가 떨리는 느낌을 살려주어야만 에르 발음이다. 

한국엔 없는 발음이기에 습득하기 상당히 어렵다. 


С с

[s]

생긴 모양은 알파벳 C지만 발음은 S이다. S와 마찬가지로 발음하면 된다. 


Т т

[te]

영어발음 T(ㅌ)와 유사하지만 실제 발음은 ㄸ에 가깝다. 또한 필기체 소문자가 영어 알파벳 소문자 m과 똑같이 생겨 처음 배울때 상당히 헷갈린다.

활자체에선 T로 쓰므로 헷갈리지 않지만, 필기체를 읽을땐 주의해야 한다(러시아어에선 소문자 M은 똑같이 м이다). 


У у

[woo]

영어 발음으로 치면 woo가 가장 유사할 것이다. 한국어로는 ㅜ 이다. 영어알파벳을 통해 익히 아는 y와는 다른 발음을 낸다. 


Ф ф

[f]

영어 발음 f와 유사하다. 그리스어에 영향을 받았단 것을 알 수 있는 글자이기도 하다.


Х х

[ha]

영어 X와는 다소 다른 발음을 낸다. 영어로 치면 h와 유사하여, 하 흐 발음을 낸다. 


Ц ц

[ts]

영어로는 ts 발음, 한국어로 ㅉ 발음이다. 러시아 황제를 뜻하는 짜르가 이 알파벳으로 시작한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발음으로 ㅈ과 구별된다. 


Ч ч

[ch]

영어로는 ch, 앞의 ц와는 다른 ㅊ발음이다. 한국인에게는 그렇게 어렵지 않은 발음이다.


Ш ш 

[sh]

영어로 sh 발음과 유사하며 한국어로는 쉬 발음이 난다. S와 다른 발음이다.

영어 She 를 발음할 때를 생각하면 의외로 따라하기 쉽다.


Щ щ 

[shi-]

시치 라고 하는데, 정확한 발음은 아니라고 한다. 러시아 음식으로 유명한 보르쉬(혹은 보르쉬치)의 끝음절이 щ이다.

그래서 보르쉬 보르시치 등 여러 버젼으로 불린다. 상당히 까다로운 발음으로 연습이 필요하다.

굳이 표현하자면 쉬-ㅊ 정도로 생각된다.


Ъ ъ

뜨뵤르듸즈낙은 따로 발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름에서의 뜨뵤르듸는 твёрдый로, 딱딱한, 굳은, 단단한 이란 형용사이다.

단어 처음에 들어가지 않으며, 뜨뵤르듸즈낙 앞에오는 자음, 모음을 경음으로 만들어준다.

이름 그대로 자신의 앞에 오는 발음을 딱딱하게 만든다.


Ы ы

[eu]

영어로 치면 eu라고 하지만, 한국어로 발음하면 훨씬 이해하기 편하다. ㅢ 발음으로 형용사 일반형태에 많이 들어가는 발음이다.

한국인이 아무래도 발음하기 편하다.


Ь ь 

먀흐끼즈낙도 뜨뵤르듸즈낙과 마찬가지로 발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름에서의 먀흐끼는 мягкий는 뜨뵤르듸와 반대로 유연한, 부드러운 이란 뜻의 형용사이다.

먀흐끼즈낙 역시 첫글자에 오지 않으며, 자신의 앞에 오는 자음을 연음으로 발음나게 만든다.

-ь로 끝나는 경우 и와 발음이 유사하게 변한다.


Э э 

[e]

알파벳 e와 유사한 발음이며, 한국어로 ㅔ이다. 러시아알파벳 е는 ㅖ 로 발음되지만 э는 ㅔ로 발음된다. 

두 알파벳의 발음은 구분할 수 있어야 하며, 한국인에겐 어렵지 않은 편.


Ю ю 

[yu]

영어로 yu와 비슷하며 한국어 ㅠ와 같은 발음을 갖는다. ㅜ와 ㅠ 를 구분하는 한국으로썬 쉽게 발음할 수 있다.


Я я

[ya]

영어로 ya와 비슷하며, 한국어 ㅑ와 같은 발음이다. ㅏ와 ㅑ를 엄격히 구분하는 한국인에게 쉬운 발음이다.

참고로 я는 나라는 뜻을 갖는다.



러시아어 알파벳은 의외로 한국인에게 쉬운 발음이 많은 편이다.

하지만 한국어와 달리 ㅏ ㅓ를 구분하지 않으며, ㅓ ㅕ 발음이 없다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인지, 러시아권 학생들을 보면 한국어를 할때 ㅏ ㅓ /ㅛ ㅕ 를 구분하지 않고 쓴다.


반응형

+ Recent posts